2020년은 모두에게 낯설고 힘든 경험이 많았던 한 해로 기억될 듯합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는 우리 일상의 많은 부분을 바꾸어놓았는데요. <br /> <br />가장 큰 변화를 꼽으라면 아마도 어딜 가든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한다는 점이겠죠. <br /> <br />사람, 공간, 시선을 전하는 인터뷰에서 올 한 해 마스크로 상징되는 사건과 단상들을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내레이션] <br />2020년 1월 20일,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나왔다. <br /> <br />그땐 미처 알지 못했다. <br /> <br />그날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가 나뉜다는 것을. <br /> <br />마스크는 새로운 일상의 상징이 되었다. <br /> <br />2월, 대구·경북 지역에서 신천지를 중심으로 한 폭발적 감염이 발생했다. <br /> <br />불안 심리에 마스크 수요가 급증했고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마스크 대란이 일어났다. <br /> <br />정부는 마스크 5부제를 시행했고(3월 9일),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졌다(3월 22일). <br /> <br />마스크는 본디 얼굴을 가리기 위한 수단이다. <br /> <br />늦은 밤 마스크 한 채 인적 드문 곳을 돌아다니면 오해받기 십상이었다. <br /> <br />미세먼지나 황사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됐지만, 부정적 인식을 바꾸진 못했다. <br /> <br />사람을 인지하는 첫 번째가 얼굴인데, 이유를 막론하고 이를 가리는 건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. <br /> <br />그런데 코로나19가 이러한 고정관념을 뿌리째 흔들었다. <br /> <br />미국이나 유럽은 마스크에 대한 거부감이 강했다. <br /> <br />세계적 대유행 속에서도 인식을 좀처럼 바꾸지 않았는데, 그 결과는 참혹했다. <br /> <br />순식간에 세계 최다 감염자, 사망자를 낳았다. <br /> <br />5월 초, 국내에선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. <br /> <br />앞서 신천지도 그랬지만, 이태원 역시 마스크 미착용이 문제였다. <br /> <br />모인 것도 잘못인데 마스크마저 하지 않았던 그들에게 거센 비난이 쏟아졌다. <br /> <br />마스크 부재로 인한 집단감염은 역설적으로 마스크의 능력을 입증했다. <br /> <br />확진자가 있는 닫힌 공간에서 확산을 막아낸 사례도 이어졌다. <br /> <br />마스크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늘었다. <br /> <br />대란이던 2월 말 주당 7천만 개가 안 되던 것이 5월 말 1억 개를 넘기면서 수급이 안정화되었고, 9월 셋째 주엔 무려 2억 8천만 개에 달했다. <br /> <br />정부는 6월 1일 마스크 5부제를 종료했다. <br /> <br />인간人間이란 단어의 의미처럼 우린 관계 맺으며 살아야 하는 사회적 동물이다. <br /> <br />대면하고 모여야 하는데 감염병은 우릴 흩어지게 했다. <br /> <br />마스크는 비대면 사회 속 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22722483224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